안녕하세요 달향입니다 오늘은 GIS분석 중에서 자주사용되는 벡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벡터데이터(vector)의 3대 구성요소 및 특성 / 벡터자료의 파일형식
GIS 및 각종 분석에서 사용되는 공간데이터 모델은 벡터와 레스터로 구분되는데요 벡터는 점,선,면의 3대 구성요소를 통해 좌표로 표현이 가능하답니다
벡터데이터란?
도면요소인 점, 선, 면으로 좌표등으로 대상물의 표현이 가능한 위치기반 데이터로서 래스터데이터보다 복잡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 공간기반 분석을 할 때 벡터데이터를 이용해 래스터로 변환해서 주로 사용되고 있음
- 공간 기하학과 위상(Topology)에 사용
- 기본적인 도형요소(점, 선, 면)로 구성되어 있음
1.점(point)
- 가장 단순화된 표현으로서 0차원 개념
- X,Y의 수평적 위치를 통해 공간적위치(Spatial Location)를 나타냄(좌표)
- 한 개의 노드로 구성되어 노의 위치값으로 위치좌표를 표현
2. 선(line)
- 점과 점이 어어져 길이를 가지는 1차원 객체
- 두 개 이상의 노드와 수많은 버텍스로 구성
3. 면(area)
- 최소 3개 이상의 선으로 폐합되는 2차원 객체
- 하나의 노드와 수많은 버텍스로 구성되어 면적개념을 가짐
벡터데이터(vector data)의 특성
- 가장 단순화된 표현으로서 0차원 개념
- X,Y의 수평적 위치를 통해 공간적위치(Spatial Location)를 나타냄(좌표)
- 한 개의 노드로 구성되어 노의 위치값으로 위치좌표를 표현
벡터데이터의 특성(구조)
1. 측량등을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구조물 및 현상을 점, 선, 면으로 표현할 수 있음
2. 길이가 길거나 곁쳐저 복잡한 선의 경우 Node와 vertex로 교차점 표현
3. 원형, 곡선이 심한 것도 표현이 가능함 arc, chain, string
4. 면(폴리곤) 데이터의 구조화
벡터자료의 파일형식
벡터자료로서 수치화된 자료는 컴퓨터의 입출력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통해 CAD, SHP, coverage, 등의 다양한 파일 형식을 취함
1. shape파일
shape파일은 ESRI사의 arcview, arcgis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으로 polylne, point, polygon 의 형식으로 벡터자료(위치, 속성정보가)를 사용
2. Coverage파일
shp파일과 마찬가지로 ESRI사의 Arc/info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형식
- point : 선이나 면 형태가 없는 공간정보
- arc : 라인등 선형객체 면형객체의 경계표현
- Node : arc의 시작점과 끝점 또는 arc간 교차점을 표현
- annotation : 커버리지에 포함된 공간객체, 화면 표현 목적의 문자
- Polygon : 다수의 아크에 의해 닫혀진 객체
3. CAD파일 형식
오토대스크사의 Autocad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하는 DWG, DXF 파일로서 벡터데이터자료의 대표적 파일형식임
'일상생활 > 알아두면 좋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혈에 좋은 3대 음식 철분제 적적 복용량 올바른 복용법 (0) | 2015.05.11 |
---|---|
다잡아 SSD 최적화 프로그램 하나면 끝~ (0) | 2015.05.09 |
AutoCAD map(캐드 맵)으로 다중도면 삽입(DWG파일 한번에 여러개 붙이기) 방법 - 캐드 다중도면 삽입 (0) | 2015.05.06 |
win 8 & win8.1 파일 확장자 보기 / *.확장자 설정 방법 (0) | 2015.05.05 |
윈도우 8 & 8.1 제어판 접속방법 (제어판 단축키, 검색, 탐색기) (0) | 2015.05.04 |